Learning English
2023-08-25 09:59
EDITORIALA bad precedent
[사설 읽기] 나쁜 선례
Japan makes another historic blunder
일본, 또다시 역사적 실수 저질러Defying a myriad of opposition both at home and abroad, Japan began to release nuclear-tainted water into the Pacific Ocean, Thursday.
일본은 국내외 거센 반발을 무릅쓰고 목요일부터 핵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류하기 시작했다.It's a task that has a beginning but an uncertain end.
방류는 시작은 있지만 끝은 불확실한 작업이다."From 7.5 years to 30 years and a minimum of 30 years." Those were the words used by Japanese media, saying it is difficult to predict when the release of treated wastewater from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will end.
"7.5년에서 30년, 그리고 최소 30년."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 방류가 언제 끝날지 예측하기 어렵다며 일본 언론이 사용한 말이다.All optimistic conclusions about the discharge of treated nuclear wastewater assume that "everything will go as plann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But Tokyo is not even sure of when it could terminate the process.
처리된 핵 오염수 방류에 대한 모든 낙관적 결론은 "모든 것이 일본 정부의 계획대로 진행될 것"을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언제 방류 작업을 종료할 수 있을지조차 단언하지 못하고 있다.Japan cites the need to decommission the plant quickly as the reason for using this method. However, Japanese media are skeptical, citing about 880 tons of nuclear fuel debris accumulated in the plant. Few know the exact amount and locations. There are also limits to using robots to remove them. Greenpeace says it is "impossible within this century."
일본은 해양 방류를 선택한 이유로 원전을 조속히 해체해야 할 필요성을 든다. 그러나 일본 언론은 원전에 축적된 880t에 달하는 핵연료 잔해물을 언급하는 등 회의적이다. 정확한 양과 위치를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기계를 사용한 제거 작업에도 한계가 있다. 그린피스는 "금세기에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Those who support or endorse Tokyo's move, including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say that the filtered and diluted water will do little harm to human health. We hope they are right. However, many scientists point out that related discussions, including its long-term, cumulative effects through the marine food chain, have been insufficient. After all, even science can't go beyond the limits of what we know today.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비롯해 일본의 움직임을 지지하거나 승인한 사람들은 여과되고 희석된 오염수는 인간의 건강에 거의 해를 끼치지 않을 거라고 말한다. 우리는 그들이 옳기를 바란다. 그러나 해양 먹이사슬을 통한 장기 누적 효과 등 관련 논의가 미흡했다는 점을 많은 과학자들이 지적한다. 결국, 과학조차도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의 한계를 넘어서지 못한다.The IAEA has a credibility problem regarding this controversy. The U.N. agency, which promotes the nuclear industry, reportedly recommended the ocean release idea to Japan a decade ago, two years after a tsunami crippled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Considering the U.S.' influence on most U.N. agencies and that America has not been free from its responsibility for the nuclear contamination of the Pacific Ocean, Washington's support for Tokyo has long been expected.
IAEA는 이번 논란과 관련해 신뢰성 문제가 있다. 원전 산업을 활성화하는 유엔 기구는 쓰나미가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를 파괴한 지 2년 후인 10년 전 일본에 해양 방류를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 기관 대부분에 미치는 미국의 영향력, 그리고 미국 역시 태평양의 핵 오염에 대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미국의 일본 방류결정 지지는 오래 전부터 예상 가능했다.What was unexpected was Seoul's move.
예상치 못했던 것은 한국의 움직임이었다.Korea and Japan have long been closest geographically but furthest apart in terms of national sentiment. So, Seoul's otherwise unthinkable act of consent must have been the proverbial "support of a thousand horses" for Tokyo. A simple endorsement did not suffice.
한국과 일본은 지리적으로 가까우면서도 국가 감정 측면에서는 오랫동안 소원했다. 따라서 한국 의 예상치 못한 동의는 속담으로 치면 일본에 "천군만마"였을 것이다. 단순한 승인만으로는 충분치 않았다.The Yoon Suk Yeol administration made PR material to advertise the released water's safety using taxpayer money while attacking its political opponents as scaremongers. Little wonder Koreans ask whether theirs is a Korean or Japanese government. Greenpeace called it Tokyo's irresponsibility plus Seoul's abetment.
윤석열 정부는 국민의 혈세를 이용해 방류 오염수의 안전성을 알리는 홍보물을 만들며 정치적 반대자들을 불안 선동자라고 공격했다. 국민들이 우리 정부가 한국 정부인지 일본 정부인지 헷갈려 하는 것도 이해가 된다. 그린피스는 이를 일본의 무책임, 그리고 한국의 방조라고 불렀다.Yoon, who prioritizes trilateral cooperation, might have found it difficult to oppose what Japan decided and America supported. His shortsighted adherence to nuclear power generation could be another reason.
3국 협력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윤 대통령은 일본이 결정하고 미국이 지지하는 사안에 반대하기 어려웠을 수도 있다. 원전 발전에 대한 윤 대통령의 근시안적인 집착 또한 이유가 될 수 있다.Still, Korea must have an independent voice on issues of global importance, like the environment and climate.
하지만 한국은 환경과 기후 문제와 같이 국제적으로 중요한 문제에서는 독립적인 목소리를 내야 한다.
KEY WORDS
■ blunder 실수
■ a myriad of 무수한
■ terminate 끝내다, 종료하다
■ cite (이유·예를) 들다
■ decommission (핵발전소·무기 등을) 해체하다
■ accumulate (서서히) 모으다, 축적하다
■ cumulative 누적되는
■ credibility 신뢰성
■ sentiment 정서, 감정
■ suffice 충분하다
■ abetment 방조
사설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