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ones belonged to N. Korea'



By Kim Tae-gyu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MND) said Friday it was certain that three recently crashed spy drones belonged to North Korea.

The ministry plans to create a team composed of international experts to confirm this.

"We have a lot of evidence, which makes us quite sure that the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came from North Korea," a ministry official said in an interim report on a weeks-long investigation.

"They took pictures of South Korean military installation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ir flying ranges were less than 300 kilometers, they could not have come from China or Japan,"

He added that the light-blue UAVs look identical to models the North disclosed recently, and are totally different from South Korean drones. The military also retrieved six fingerprints that were not registered in the massive government data base.

However, the MND admitted that such evidence was not a smoking gun. As a result, a special team will examine the interiors of the drones along with global experts, which will take up to two months.

"Components from many countries were used to build the drones including from Japan, China, the United States, Czech Republic and South Korea but producers' logos and serial numbers were erased," the official said.

"The dedicated team, which will include experts from the U.S., will carry out an in-depth examination on significant parts such a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data storage module. They will seek more compelling evidence."

The three drones are believed to have flown autonomously using global positional system (GPS) coordinates on the strength of autopilot software. Hence, decoding the coordinates will reveal their routes in detail.

But South Korean experts have struggled to decipher the complex North Korean software which they are unaccustomed with.

If the North is found to be the origin of the UAVs, the ministry will issue an official protest to Pyongyang and come up with additional countermeasures; something experts say will have little effect on the reclusive state.

"No matter what military action Seoul takes, it will have very limited impact on the North. Do you think Pyongyang would flinch at our protests?" said Kim Jong-dae, editor of Defense 21 Plus, a security monthly.

"Rather, I think that the South should deal with the violations of its airspace through diplomatic channels. How about bringing the case to the U.N. or consulting with neighboring countries to craft joint countermeasures?"



Korean Language

北 추정 무인기, 서울지역 7∼9초 간격 촬영

지난달 24일 경기도 파주에서 발견된 북한제 추정 소형 무인항공기는 서울 상공을 비행하면서 7∼9초 간격으로 주요지역을 촬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인기를 조사하고 있는 국방과학연구소(ADD)의 김종성 무인기 체계개발단장은 11일 국방부 출입기자들에게 파주와 백령도, 삼척에서 발견된 무인기 3대의 기체를 공개하고 합동조사 결과를 자세히 설명했다.

ADD 창조관 대회의실에는 3대의 무인기 기체가 나란히 전시돼 있었고, 기체 옆에 별도로 전시된 부품은 곳곳에 훼손된 흔적이 역력했다.

이날 파주에서 추락한 무인기의 사진 촬영 방법이 새롭게 드러났다.

193장의 사진 중 초반 15장은 모두 검은색으로 찍힌 물체의 형체를 알아볼 수 없었다. 이륙 전 기체 점검과정에서 카메라 덮개를 벗기지 않고 셔터를 누른 것으로 추정됐다.

비행 중 촬영된 178장의 사진을 분석한 결과 촬영 날짜는 표시되지 않았고 오전 10시3분 경기도 파주 시청 근방에서 촬영이 시작됐다.

무인기는 동남 방향으로 비행했고 서울시청 근처에서 유턴한 다음 남하했던 궤적을 역으로 올라가는 방식으로 비행했다.

오전 10시3분 사진을 찍다가 잠시 중단하기도 했으며 오전 10시16분에 서울시청 근처 상공까지 도달했다. 이어 7∼9초 간격으로 서울 중심지 사진을 촬영하며 북상을 했다. 청와대 전경이 포함된 서울 사진은 5장이었다.

오전 10시28분 경기 북부지역 사진을 마지막으로 오전 10시30분 파주에 떨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당시 무인기가 남쪽으로 비행한 속도는 시속 120㎞, 북쪽으로 비행은 시속 100㎞로 나타났다.

무인기는 당초 2㎞ 상공을 유지하면서 남하했다. 그러나 서울에서 경기북부 쪽으로 올라가면서 고도가 2㎞ 이상을 유지해야 하는데 1.2㎞ 이하로 점점 낮아졌다. 파주 상공에서 고도가 계속 떨어지면서 상승 능력이 부족해 추락한 것으로 평가됐다.

ADD의 김 단장은 '엔진에 연료가 남아 있었지만 엔진 이상으로 추락한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이 무인기는 일제 캐논 카메라의 24㎜ 렌즈를 사용했다'고 말했다.

지난달 31일 백령도에 떨어진 무인기에는 119장의 사진이 찍혀 있었다. 이 가운데 19장은 풀밭과 발사대로 추정되는 물체가 흐릿하게 찍혔다. 이는 이륙 전 기체를 점검하는 과정에서 촬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100장의 사진을 분석한 결과 촬영 날짜는 표시되지 않은 채 오후 2시2분부터 촬영됐다. 바다 위 상공이라서 위치는 알 수 없는 사진이다. 오후 2시4분 소청도 남단으로 돌아서 오후 2시22분 소청도 정찰을 끝냈다.

이어 지그재그식으로 정찰 비행을 하면서 오후 2시45분 대청도 사진을 찍은 뒤 오후 2시47분 바다 사진을 끝으로 더는 없었다. 1시간10분가량 지난 오후 4시께 백령도에서 기체가 발견됐다고 김 단장은 설명했다.

일제 니콘 D800 카메라와 니콘 35㎜ 렌즈를 이용했다.

이 무인기는 1.4㎞ 상공을 일정하게 비행했으며 속도는 시속 100∼120㎞로 나타났다. 체코제 4행정 휘발유 엔진을 사용한 백령도 무인기는 조종계통이 가장 복합하게 설계되어 최신형으로 분석됐다.

김 단장은 '무인기가 GPS 신호를 받아 원하는 위치에서 임무를 명령할 수 있다'면서 '중앙처리장치(CPU)에 연결된 카메라에 컴퓨터가 신호를 주면 촬영 시간 간격과 촬영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제로 추정되는 무인기의 기술 수준을 우리나라 대학원생들이 제작한 무인기와 비교해 설명했다.



Top 10 Stories

LETTER

Sign up for eNewsl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