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American education fosters innovation, creativity

By Haewon Helen Whang

In his book "Ungifted," Yale-educated cognitive psychology professor Scott Barry Kaufman states that we should all strive to be knowledge producers, not just knowledge consumers.

Having students simply memorize facts may produce an erudite population, but it will hardly benefit society unless something is created with that knowledge. It is this act of using knowledge to create that has made America one of the most entrepreneurial and technologically advanced societies in the world.

For many American children growing up in affluent neighborhoods, the focus on engendering confidence, creativity and collaboration starts early by having children participate in fun group activities.

From Show and Tell in preschool, in which children do a presentation on their favorite toy, to book discussions in kindergarten where children can agree to disagree with each other's opinions, children are encouraged to speak up.

In 2nd grade, children pair up and work collaboratively to analyze the books they have just read and to dissect them critically. In 7th and 8th grade science class, they work in a virtual ecosystem to solve a mystery as to why fish are dying in that habitat. In a 12th grade writing class, students critique and help each other to become better writers.

Even outside school, proactive involvement is highly encouraged in American kids.

Young children are awarded medals just for participating in sports or programs so that each child can value his or her role on the team.

Parents encourage their children to participate in sports because they build camaraderie, teamwork and a competitive spirit in a safe environment. Sports also teach children resilience after failure (because everyone has experienced losing in sports).

In addition to sports, children also actively participate in fundraising for events such as bike-a-thons and swim-a-thons in which children ask adults to pledge money for charity in exchange for the children's participation in the event. Girl Scouts knock on our doors to sell cookies to raise money for their teams or a child sells self-made lemonade in front of his house.

Children are encouraged to express themselves, be it by ordering at a restaurant or debating with a teacher. These are scenes that evoke the very texture of Americana. These participatory activities are far more effective for learning than rote memorizing.

Dr. Grob-Zakhary, a Johns Hopkins-educated medical doctor and neuroscience professor who is now the CEO of the Lego Foundation, agrees: "Play allows us to test our capabilities, as all forms of learning should. It stimulates children's learning abilities by fostering creativity, building critical thinking, sparking intellectual curiosity and facilitating learning by doing."

Similarly, MIT researchers Laura Schulz and Elizabeth Bonawitz found that children learned more when left to explore features of toys on their own than when a teacher gave instructions about the features they may find.

They concluded that although direct instruction may be an effective way to get children to learn something specific, it also makes children less likely to discover unexpected information and reach creative conclusions because they assume the teacher will just teach them.

This philosophy of letting children explore their own interests and learning through self-exploration is supported by the biographies of great creative minds like Thomas Edison, Albert Einstein and Steve Jobs.

They all possessed the traits to be creative geniuses such as "openness to ideas, curiosity, persistence, originality, intellectual risk-taking, metaphorical thinking and thrill seeking" that were expressed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outside of the rigid confines of traditional schools.

American education fosters innovation by encouraging children to express their ideas freely and to appreciate dissenting opinions. By advancing individual expression without fearing the shame of dissenting opinion, American education promotes creation and risk-taking _ the root of innovation.

Creativity expert Sir Ken Robinson noted, "If you're not prepared to be wrong, you will never come up with anything creative." This explains why countries like the U.S, Israel and Sweden with children who are found to be the most confident, despite their poor performance in PISA assessments, have the highest venture capital investments.

Conversely, out of innovation-driven economies, Singapore, Korea, Taiwan and Japan are among the best PISA performers but score the lowest in entrepreneurial confidence. In fact, there is a direc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ISA scores and confidence in entrepreneurship _ cultures that tested well are not confident about their ability to start a successful business.

Perhaps this is just another way of saying too much emphasis on test preparation stymies creativity, confidence and collaboration, which are traits needed for successful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If we want our children to become successful innovators, we need less tests and more participatory activities for them.

Haewon Helen Whang is the founder and CEO of English Hound (www.EnglishHound.com), a New York-based online English reading and writing tutoring company for advanced students. She is also an attorney and lives in New York with her husband and her two sons.




Korean Language

미국 교육은 어떻게 혁신을 이루는가

헬렌 황

미국 예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인 스콧 베리 카우프만 박사는 ‘언기프티드(Ungifted)’라는 저서에서 우리는 단지 지식의 소비자들이 아니라 지식의 생산자들이 되기 위해 전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만일 무언가 그같은 지식으로 창조되지 않는다면 단순히 사실을 암기하는 학생들은 박식한 집단을 생산할지 모른다. 

하지만 그것이 지식으로 창출되지 않는다면 사회에 이익이 되지 않을 것이다. 창조하기 위해 지식을 사용하는 행위, 이것이야 말로 미국을 세상에서 가장 기업적이고 기술적으로 발달된 사회 중 하나로 만들어 온 것이다. 

부유한 지역에서 자라나는 많은 미국의 자녀들을 위해, 신뢰와 창조성, 협력을 불러일으키는 데 주력하는 것은 필자 아들이 다니는 학교 영상 수업에서 보여지는 것 처럼 일찍이 재미있는 단체 활동에 참여하는 아이들이 존재함으로써 시작된다. 

프리스쿨의 ‘쇼 앤드 텔’(Show and Tell: 각자 물건을 가져와서 발표하기)에서부터 킨더가든의 독서 토론에 이르기까지 자녀들은 이를 통해 서로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에 동의할 수 있게 되고 거리낌 없이 말할 수 있도록 장려된다. 

2학년이 되면 아이들은 자신들이 읽은 책을 분석하고 비평하기 위해 협동 활동을 벌이게 된다. 7-8학년 과학 수업 시간에는 서식지에서 물고기들이 왜 죽어가는 지에 관한 의문을 풀기 위해 실제 생태계에서 과업을 수행한다. 12학년이 되면 학생들은 작문 시간에 서로 더 훌륭한 글쓴이가 되기 위해 비평하고 돕는다. 

미국 아이들에게는 심지어 학교 밖에서 상황을 주도하는 활동도 매우 권장된다. 어린 아이들은 단지 운동이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 만으로도 상을 받음으로써 팀내에서 자기 역할의 가치를 깨닫게 된다. 부모들은 자녀들이 운동에 참여하도록 권장한다. 

운동은 동료애와 팀워크, 안전한 분위기 속에서의 경쟁심을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운동은 또 누구나 패배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아이들에게 실패 뒤 이를 극복하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 운동뿐 아니라 아이들은 사이클대회와 수영대회에 참여하는 댓가로 어른들에게 자선 모금 지원 약속을 요청하는 등 적극적으로 모금 행사에 참여한다. 

걸스카우트 회원들은 자기팀을 위한 자금 마련을 위해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쿠키 판매에 나선다. 그런가 하면 집 앞에서 자신이 직접 만든 레모네이드를 판매하는 아이도 있다. 아이들은 식당에서 음식을 주문하거나 선생님과 토론을 벌임으로써 자신들을 표출하도록 장려된다. 이는 바로 미국의 전형적인 모습을 떠올리게 하는 장면들이다. 이같은 참여 행동 방식들은 기계적인 암기보다 교육에 있어 훨씬 효과적이다.

존스홉킨스 대학 출신 의사이자 신경과학 교수로 현재 레고 재단의 최고경영자인 그롭 자크하리 박사는 “놀이는 능력을 시험하며 모든 교육 방식도 그래야 한다. 이는 창조성 발전과 비판적 사고 계발, 지적 호기심 유발, 행동에 의한 학습 조성 등으로 아이들의 학습 능력을 자극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MIT대학의 연구원인 로라 슐츠와 엘리자베스 보나위츠 박사는 학생들이 찾아낼 수 있는 장난감의 특징들을 교사가 가르쳐줄 때보다 자기 스스로 그 특징들을 탐구하도록 할 때 더 많이 배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비록 직접 가르쳐 주는 것은 아이들이 특정 분야를 배우는데 효과적인 방식일지 몰라도 교사가 금방 가르쳐줄 것이라는 점을 아이들이 가정하게 된다. 이 역시 아이들이 기대하지 못한 정보를 발견하고 창조적 결론에 도달하도록 하는데 제한적이라는 결론을 내린 것이다. 

아이들이 자신들의 관심사를 연구하고 자기 탐구를 통해 학습하도록 하는 교육철학은 토머스 에디슨이나 알버트 아인슈타인, 스티브 잡스와 같은 창조적 위인들의 전기에도 잘 나타나 있다. 이 위인들은 모두 창조적 천재성을 지니고 있었는데, 가령 열린 사고와 호기심, 지속성, 독창성, 지적 위험 감수, 은유적 사고, 그리고 스릴을 추구하는 것으로, 이는 엄격한 전통 방식의 학교 교육이 아닌 자기 주도형 학습을 통해 표출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구글의 공동 설립자들인 레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도 구글의 성공은 자기 주도형 학습과 탐구를 증진시키는 그들의 몬테쏘리 교육의 결과로 인식했다. 
미국의 교육은 생각을 자유롭게 표출하고 반대 의견의 진가를 알수 있도록 하는 아이들에 의한 혁신을 추구한다. 반대 의견이 나올 것에 대한 부끄러움과 공포감 없이 개인의 의사 표현을 발전시킴으로써 미국 교육은 혁신의 근원인 창조와 위험 감수를 증진한다. 

창조성 전문가인 시르 켄 로빈슨 박사는 “만일 여러분이 잘못될 준비가 돼 있지 않으면 결코 창족적인 것들을 찾아내지 못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이는 미국과 이스라엘, 스웨덴 같은 나라들이 PISA 평가에서 저조한 실적을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왜 신념이 가장 많은 아이들에게 큰 자본 투자 모험을 하는지 그 이유를 설명해 준다.

반대로 혁신 주도형 경제국가들 가운데, 싱가포르, 한국, 타이완, 일본 등은 최고의 PISA 실적을 보이지만 기업가적 신념에 있어서는 최저점을 받고 있다. 사실상 PISA 점수와 기업가정신 문화 사이에는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잘 평가된 기업가정신 사고방식들은 성공적인 기업을 시작하는 이들의 능력에 대해 신뢰를 주지 못한다. 
아마도 이는 시험 준비를 너무 강조하는 것은 창조성, 신뢰, 협력 등 성공적 기업과 혁신을 위해 필요한 특성들을 약화시키는 또 다른 방식이 되는 것 같다. 만일 자녀들이 성공적인 혁신가가 되기 원한다면 아이들에게 시험을 덜 보도록 하고 그들을 위한 더욱 참여적인 활동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혜원 헬렌 황은 뉴욕에 있는 영어 읽기와 쓰기 온라인 전문 튜터링 English Hound (www.EnglishHound.com) 회사 대표이다. 변호사이기도 한 그는 가족으로 남편과 두 아들이 있으며 현재 뉴욕에 거주하고 있다. 



Top 10 Stories

LETTER

Sign up for eNewsl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