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tings

ⓕ font-size

  • -2
  • -1
  • 0
  • +1
  • +2

EDITORIALCollapse of classroom

[사설 읽기] 교실의 붕괴

  • Facebook share button
  • Twitter share button
  • Kakao share button
  • Mail share button
  • Link share button

Deaths of teachers indicate demise of education
교사들의 죽음, 교육의 종말을 의미해


One after another, teachers are dying.
한 명, 또 한 명. 교사들이 죽어가고 있다.


Following the suicide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Seoul around 50 days ago, three more have since followed in her footsteps, last week, across the nation.
50일쯤 전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후, 지난주 전국적으로 3명의 교사가 그녀를 따라 극단적 선택을 했다.


Tens of thousands of teachers staged a rally wearing black clothing near the National Assembly on Monday. They mourned their colleagues' deaths and the school system's demise on the day that public education came to a halt.
교사 수만 명은 월요일 국회 근처에서 검정색 복장을 한 채 집회를 열었다. 교사들은 동료의 죽음에 애도를 표하고 학교 시스템의 종말을 애통해 했으며, 당일 공교육은 멈췄다.


A recent survey of teachers makes for hard reading.
최근 교사 직무관련 실태조사는 어려운 전망에 힘을 실었다.


It showed that 99 percent of respondents experienced infringements on their authority by overbearing parents and disorderly students. Some 93 percent fear being reported ― or sued ― for child abuse despite meting out legitimate punitive measures. Eighty-seven percent have already thought of quitting in the past year, and 27 percent have received psychiatric treatment.
응답자 99%는 고압적인 학부모와 무질서한 학생에 의한 교권 침해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93%는 합법적인 징계처벌을 내렸지만 아동학대 신고를 받거나 고소될까 봐 두려워했다. 87%는 지난해 이미 교사를 그만두려고 했고, 27%는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었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vowed to move swiftly to accept the demands put forward by teachers. And the ministry,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dismal reality, withdrew its threat of "stern measures" against teachers taking "unlawful collective action." Anyway, their rally was legal and orderly.
교육부는 교사들의 요구를 신속히 수용하기로 약속했다. 이 암울한 현실에 주요 책임이 있는 교육부는 "불법 집단행동"을 취하는 교사들에 대한 "강경 조치" 위협을 철회했다. 어쨌든 교사들의 집회는 합법적이고 질서정연했다.


Alarmed by the anger and disappointment of teachers, the government and political parties are enacting and revising four related laws. These call for, among other things, the elimination or weakening of child abuse provisions for justifiable disciplinary measures and obligating school principals to deal with complaints from parents. Bureaucrats and politicians must speed up their jobs and do more by carefully examining other demands made by teachers.
교사들의 분노와 실망에 놀란 정부와 정당은 관련법 4개를 제정•개정 중이다. 관련법들은 무엇보다 정당한 징계 조치에 대한 아동 학대 조항 약화 및 철폐, 그리고 교장의 학부모 불만 사항 처리를 의무화하도록 요구한다. 관료 및 정치인은 업무 속도를 높이고 다른 교사들의 요구사항을 주의 깊게 검토해 더 많은 일을 해야 한다.


These moves are crucial, but they are just stop-gap measures. The time has long passed for the nation to rethink its education system from the ground up. Education is often called the "task that spans a century." However, in Korea, frequent educational reforms have been about changing the college entrance system.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re only stations from which students travel toward the ultimate destination of good universities. Prior learning is rampant and private academies prosper.
이러한 움직임은 매우 중요하지만 임시방편일 뿐이다. 정부는 이미 오래 전 교육 시스템을 처음부터 재편해야 했다. 교육은 흔히 '100년에 걸친 과제'라고 불린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대학입시제도를 바꾸는 교육개혁이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는 학생들이 명문대라는 최종 목적지를 향해 거쳐가는 정거장일 뿐이다. 선행학습이 만연하고 사립학원이 번창하고 있다.


Students, pressured by their parents' expectations, become increasingly unruly, hurting one another and their teachers. Pupils don't respect teachers, thinking they have little to learn from them. However, even these issues are the stories of the more privileged kids of southern Seoul. Those from poorer backgrounds and in poorly performing schools don't care, with pupils sleeping even during exams. Like marriage and childbirth, study has become an issue only for upper-class families and regions in this country. Korea is what it is now, thanks to education. But its education system is dying.
부모의 기대감에 짓눌린 학생들은 점점 더 통제하기 어려워지고 서로에게, 그리고 교사에게 상처를 준다. 학생들은 교사에게서 배울 것이 거의 없다고 생각하여 교사를 존경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 문제마저도 서울 남부의 특권층 아이들의 이야기다. 환경이 열악하고 성적이 좋지 않은 학교 들은 시험 중에 학생이 자도 신경 쓰지 않는다. 결혼, 출산과 마찬가지로 공부도 이 나라에서는 이제 상류층이나 상류 지역만의 문제가 됐다. 교육 덕분에 지금의 대한민국이 되었다. 그러나 교육 시스템은 죽어가고 있다.

KEY WORDS
■ follow in a person's footsteps ~의 뒤를 따라가다
■ rally 집회
■ mourn 애도하다, 애석해 하다
■ demise 종말
■ come to a halt 정지하다, 멈추다
■ infringement 위반
■ overbearing 고압적인, 남을 지배하려 드는
■ disorderly 무질서한, 난동을 부리는
■ mete out (벌·가혹 행위 등을) 가하다[부과하다]
■ punitive measures 응징, 징계처분
■ psychiatric treatment 정신병 치료
■ dismal 음울한, 울적하게 하는
■ withdraw 취소[철회]하다
■ provision (법률 관련 문서의) 조항[규정]
■ disciplinary 징계의
■ stop-gap 임시방편의
■ rampant 만연[횡행]하는
■ upper-class 상류 사회, 상류층

사설 원문 보기


전예울 ywjeon@ktimes.com


X
CLOSE

Top 10 Stories

go top L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