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ial] Need for win-win diplomacy

[사설 읽기] 윈-윈 외교의 필요성

gettyimagesbank

Korea, China should prepare for another 30 years
한국과 중국은 새로운 30년을 준비해야 한다


Wednesday marks the 3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The anniversary is significant as the two countries have made phenomenal progress in bilateral tie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Seoul and Beijing can deepen their partnership further down the road. In fact, the escalating Sino-U.S. rivalry is casting a dark cloud on the diplomatic horizon in Northeast Asia.
수요일은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이하는 날이다. 이 기념일은 지난 30년 동안 양국 관계가 눈부신 발전을 이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이 앞으로 동반자관계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사실, 고조되는 미중 경쟁은 동북아시아의 외교 지평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Now the Korea-China relationship stands at a crossroads: whether to move forward toward co-prosperity, or backward to confrontation and conflict. It depends on how both countries redefine their bilateral ties in the rapidly changing world. If China sees South Korea as a pawn in the chessboard of great power games with the U.S., the two sides cannot maintain their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anymore.
이제 한중 관계는 상생으로 나아갈 것인가, 대립과 갈등으로 후퇴할 것인가의 갈림길에 서 있다. 이는 급변하는 세계에서 양국이 서로의 관계를 어떻게 재정립하느냐에 달려 있다. 중국이 한국을 미국과 강대국 게임이라는 장기판에서 볼모로 삼는다면 양국은 더 이상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유지할 수 없다.


Against this backdrop, the new Yoon Suk-yeol administration has vowed to strengthen the country's alliance with the U.S. to ensure its security amid growing military threats from North Korea. Of course,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a better alliance with America comes at the cost of Seoul-Beijing ties. In reality, however, South Korea is increasingly forced to choose between the U.S. and China because the G2 powers are in fiercer competition for greater regional and global hegemony.
이에 신임 윤석열 정부는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안보를 위해 한미동맹을 강화하겠다고 공언해 왔다. 물론 이는 반드시 미국과의 더 나은 동맹이 한중 관계를 희생시킨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실제로 한국은 G2 강대국들이 더 큰 지역 및 세계 패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에 미국과 중국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더욱더 강요 받고 있다.


As things stand now, Seoul finds it ever more difficult to strike a balance between Beijing and Washington. The conservative Yoon administration appears to be moving closer to the U.S., apparently a policy shift from his liberal predecessor's tilt toward China. However, the Yoon government is not yet ready to run the risk of losing the nation's largest trading partner, China, which accounts for a quarter of Korea's total exports.
현재 상황에서 한국은 미중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어렵게 되었다. 윤석열 보수 정부가 미국에 더 가까워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전 진보 정부의 중국 경도로부터의 정책 전환으로 보인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는 아직 전체 한국 수출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최대 교역국인 중국을 잃을 위험을 감수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Now, the intensifying great power competition is making it even harder for South Korea to keep its long-standing policy of depending on the U.S. for security and relying on China for economic growth. Some pundits point out that such a policy can no longer hold water. They argue that the country has no other choice but to join the U.S.-led international coalition against China.
이제 강대국 간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한국은 안보를 미국에, 경제성장을 중국에 의존하는 오랜 정책을 유지하기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그러한 정책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그들은 미국이 주도하는 대중국 국제 연합전선에 합류하는 것 외에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주장한다.


President Yoon has already announced its membership to the U.S.-initiated 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IPEF) which is allegedly aimed at countering China's growing regional and global influence. The Yoon administration is also moving to join the U.S.-proposed semiconductor alliance, also known as Chip 4, which will allow America to create its own supply chains and exclude China from them.
윤 대통령은 이미 중국의 증가하는 지역 및 글로벌 영향력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주도의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에 가입한다고 발표했다. 윤 정부는 또한 미국이 자체 공급망을 만들고 중국을 배제할 수 있도록 제안하는 칩4로 알려진 반도체 동맹에 합류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In response, China is trying to prevent South Korea from participating in the alliance. It has repeatedly requested the Yoon administration to stick to the previous Moon government's policy of "Three Nos": no additional deployment of the U.S.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anti-missile system here, no participation in the U.S. missile defense network and no trilateral military alliance with the U.S. and Japan. Beijing should refrain from making such demand because the THAAD issue is a matter of Korea's security and sovereignty.
이에 중국은 한국의 동맹 참여를 막으려 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를 추가 배치 않고, 미국 미사일방어망에 참여하지 않고, 한미일 3각 군사동맹을 맺지 않겠다는 문재인 정부의 3불 정책을 윤석열 정부가 고수할 것을 거듭 요구해 왔다. 사드 문제는 한국의 안보와 주권 문제이기 때문에 중국은 그런 요구를 자제해야 한다.


Both Seoul and Beijing need to develop their relations based on mutual respect and trust. They should go beyond the emerging new Cold War conformation and pursue a win-win strategy to deepen their partnership. It is time to prepare for another 30 years of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한중 양국은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관계를 발전시켜야 한다. 그들은 부상하는 신냉전 체제를 넘어서서 동반자 관계를 심화하기 위해 윈-윈 전략을 추구해야 한다. 공존과 상호 번영의 새로운 30년을 준비해야 할 때다.

8월 24일 (수) The Korea Times 사설

KEY WORDS
■ mark (중요 사건을) 기념[축하]하다
■ phenomenal 경이적인, 경탄스러운
■ bilateral 쌍방의, 쌍무적인
■ at a crossroads (중대 결정을 해야 하는) 기로에서
■ pawn (더 힘 있는 사람의 손에 좌우되는) 노리개
■ against the backdrop (of) ~을 배경으로
■ account for (부분·비율을) 차지하다
■ pundit 전문가, 권위자
■ stick to ~을 고수하다

기사 원문 보기


Top 10 Stories

LETTER

Sign up for eNewsl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