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tings

ⓕ font-size

  • -2
  • -1
  • 0
  • +1
  • +2

LIFESTYLEYoung shoppers flock to luxury goods

명품 소비에 몰리는 한국 MZ세대

  • Facebook share button
  • Twitter share button
  • Kakao share button
  • Mail share button
  • Link share button
<span>People line up in front of the Shinsegae Department Store in Seoul, in 2021, to enter its luxury boutiques. Newsis<br />2021년 서울 신세계백화점 앞에 사람들이 명품관에 들어가기 위해 줄을 서 있다.</span><br /><br />
People line up in front of the Shinsegae Department Store in Seoul, in 2021, to enter its luxury boutiques. Newsis
2021년 서울 신세계백화점 앞에 사람들이 명품관에 들어가기 위해 줄을 서 있다.

Millennials, Gen. Z lead buying trends, making Korea one of the biggest luxury markets in the world
소비 트렌드 이끄는 MZ세대, 한국을 전세계 최대 명품 소비국으로 만들어


By Lee Yeon-woo

Koreans' love of luxury goods is visible in almost all aspects of their everyday life. According to global management consultancy McKinsey & Company, Koreans are relatively fond of luxury products, with only 22 percent of them saying it is in bad taste to show off pricey clothes and accessories. This is lower than those in Japan (45 percent) and China (38 percent).
한국인의 명품 사랑은 일상의 거의 모든 측면에서 목격된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맥킨지앤컴퍼니에 따르면 한국인은 명품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고가의 옷이나 액세서리 과시를 부정적으로 본다는 비율이 22%에 불과했다. 이는 일본(45%)과 중국(38%)보다 낮은 수준이다.


They have now become the biggest spenders on luxury goods per capita, outgrowing markets in China and even the U.S. Total personal luxury goods spending by Korean nationals increased 24 percent to 21.8 trillion won ($16.8 billion) in 2022 ― about 400,000 won ($325) per person ― according to a recent study by Morgan Stanley.
한국인은 중국, 심지어 미국 시장을 능가하는 ‘1인당' 명품 최대 소비국이 되었다. 모건스탠리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한국의 총 명품 소비는 2022년 (전년 대비) 24% 증가한 21조 8천억 원(168억 달러)으로 1인당 약 40만 원(325 달러)이다.


While luxury goods purchases had been considered the preserve of the middle class, millennials and Gen Z, commonly called "Generation MZ" here, have recently emerged as a notable consumer demographic leading this market boom.
과거에는 명품 구매가 중산층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반면 최근에는 ‘MZ세대'라고 불리는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가 명품 시장의 판매 호조를 주도하는 주목할만한 소비자층으로 부상했다.


"I bought my first luxury bag in my 20s when I got my first salary. I decided there would be occasions when I would need a good bag after starting my career. I have regularly bought luxury bags, both high and moderately priced ones, once or twice a year since then," Jang, a 32-old-year office worker based in Seoul told The Korea Times.
서울에 거주하는 회사원 장 씨(32)는 코리아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20대에 첫 월급을 받고 처음으로 명품가방을 샀다.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좋은 가방이 필요할 때가 있을 거라 생각했다. 이후 1년에 한 두 번은 주기적으로 중저가와 고가의 명품백을 구매해왔다"고 말했다.


"I know they're expensive compared to my salary, but they give me confidence. I consider them as a gift to myself after working hard day and night," Jang added.
장 씨는 "연봉에 비해 비싼 건 알지만 (명품백은) 나에게 자신감을 준다. 밤낮없이 고생한 나에게 주는 선물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According to Shinsegae, Generation MZ accounted for almost 40 percent of total luxury sales in 2021. Luxury goods purchases by customers in their 20s have doubled every year, far exceeding overall luxury sales growth since 2016, when customers in their 30s became the largest buyers, Morgan Stanley stated.
신세계에 따르면 MZ세대가 2021년 전체 명품 매출의 거의 40%를 차지했다. 모건스탠리는 20대 고객의 명품 소비가 매년 2배씩 증가해 30대 고객이 주요 소비층이었던 2016년 이후 전체 명품 매출 성장률을 훨씬 넘어섰다고 밝혔다.


Kwak Geum-joo, a professor of psycholog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explained it as a cultural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She said while older people have developed the habit of saving money to survive economically tough periods, younger generations, born in affluent times, are more interested in spending money to treat themselves.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이러한 현상을 세대 간의 문화적 차이로 설명했다. 곽 교수는 나이든 사람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생존하기 위해 저축하는 습관을 길렀다면, 풍족한 시대에 태어난 젊은 세대는 스스로를 위한 보상 개념의 소비에 더 관심이 있다고 말했다.

KEY WORDS
■ aspect 측면
■ be fond of ~을 좋아하다
■ show off 과시하다
■ per capita 1인당
■ outgrow ~보다 더 커지다
■ preserve 전유물
■ notable 주목할 만한, 눈에 띄는
■ account for (부분·비율을) 차지하다
■ exceed 넘다, 초월하다
■ affluent 부유한

기사 원문 보기


전예울 ywjeon@ktimes.com


X
CLOSE

Top 10 Stories

go top L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