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tings

ⓕ font-size

  • -2
  • -1
  • 0
  • +1
  • +2

KAIST tragedy lays bare side-effects of competition

  • Facebook share button
  • Twitter share button
  • Kakao share button
  • Mail share button
  • Link share button
By Kim Rahn

A series of suicides at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has drawn attention to the drastic side-effects of extreme competition among students and professors at the nation's top universities.

Not only KAIST but all other top universities have recently put greater focus on maximizing competition to boost their global rankings. Contrary to expectations, the excessive ambition seems to have led to a tragic loss of lives and reputation.

Some say the cut throat competition on campus is unavoidable considering the similar lifestyle in society after they complete their education. But others say the current school systems are not creating healthy competition but pushing how to survive at whatever cost.

After four students killed themselves, KAIST President Suh Nam-pyo announced that the school would abolish a system in which students with poor grades pay more in tuition.

Students of the national university are exempted from tuition in principle, but 14.7 percent of the school's 7,513 students last year paid between 60,000 won and 6 million won.

What matters most

Despite the decision to abolish the system, a school official sided with enforcing it. "It is a way to make students study harder and to use taxpayers' money effectively. KAIST tuition is paid for with tax money, so spending it on students who don't study hard is unreasonable," an official of the planning and budget office said.

He said what students want and what taxpayers want can be different, adding taxpayers want to make students study and that's why the school adopted other competitive systems.

Students say once they fail to get good grades, it is not only a matter of money but of being branded as "losers."

"Some say we voluntarily chose to enter this school knowing about such systems. We don't deny the need for competition. But the system has side effects which ultimately led to student suicides, so the system needs to change, to improve," Lee Byeong-chan, a senior of the school, said.

He said after the first suicide in January, students proposed talks with Suh and the school management. "They just came up with makeshift measures, and even now, they are not changing and we're disappointed. We'll refuse Tuesday's talk with Suh which he proposed last Friday, and instead hold a separate students' meeting Wednesday. We'll urge the school to reflect the students' demands in devising policy and Suh to admit to the failure of his system reforms."

KAIST professors also called for a new leadership after a meeting, indicating Suh should change the way he runs the school and otherwise they may demand he step down.

"We can't deny that the system, which doesn't support students' various talents and potential, has brought this situation. We recognize that we have failed to prevent the system from being pushed ahead under the name of efficiency and reform," they said in a statement.

"We don't oppose reform and we know all reforms accompany pains. For a reform to continue, there should be a principle to respect various opinions, discuss freely, and seek development based on as much agreement as possible," they said.

'We are not happy'

The education authorities' data showed the average annual number of collegians who committed suicide between 2001 and 2009 was 230.

The pressure from severe competition may not be the only cause for the suicides, but critics say competition exhausts students as a KAIST student claimed in a recent wall poster: "We are not happy at this school."

Lee said they know competition is needed. "But if it doesn't have a safeguard and discouraged students lose sight of their dreams, I doubt whether the focus on competition is right."

Seoul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Woo Hee-jong, also head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Professors for Democratic Society, said colleges should teach "positive" competition, not the competition of stepping on others or self-destruction.

The association, the Korean Professors Union and Korea Progressive Academy Council called for Suh's resignation at a media briefing in Seoul, Monday. They claimed students have only learned how to win the game of survival but lost any sense of creativity, while Suh shifts the blame on the student's lack of will.

Prof.Woo said that education is a public field. "If business logic settles in it and people take such punitive tuition systems for granted, it will be a tragedy for society."



카이스트 사태, 대학의 경쟁주의 조명

카이스트 학생들의 연이은 자살로 인해 한국 명문대들의 학생들과 교수들이 처한 극한 경쟁의 부작용이 주목받고 있다.

카이스트 뿐 아니라 다른 대학들도 글로벌 순위를 올리기 위해 경쟁을 극대화하고 있지만, 기대와는 달리 고귀한 생명이나 학교의 명성을 잃는 경우가 생기고 있는 것이다.

대학에서의 치열한 경쟁이, 학생들이 앞으로 나아갈 사회의 경쟁을 보았을 때 어쩔 수 없는 것이라는 사람들도 있지만, 또 다른 사람들은 현재 제도들이 건전한 경쟁을 조성하기보다는 어떻게 살아남는가만 가르친다고 주장한다.

네 명의 학생이 자살한 후, 카이스트 서남표 총장은 대학 경쟁 문화를 대표한다고 지적받아 온 차등등록금제를 폐지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발표에도 불구하고 이 학교 관계자는 "차등등록금제는 학생들을 더 공부하도록 만들고 세금을 효율적으로 쓰게 하는 제도다. 카이스트 장학금은 세금으로 주는 것이기 때문에, 공부 안하는 학생에게 주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제도를 옹호했다.

학생들은 등록금을 내는 것은 돈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실패자로 낙인찍히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 학교 4학년 이병찬 학생은 "어떤 이들은 우리가 다 알고 입학하지 않았냐고 한다. 경쟁이 필요하다는 것을 부정하진 않지만, 이 제도가 학생들을 자살로까지 몰고가는 부작용이 있다면, 변화와 개선이 필요하지 않은가"라고 말했다.

이 학생은 첫번째 자살 이후 학생들이 서 총장과 면담을 했다며, "학교측은 임시방편만 내놓았고, 지금 이 상황에서도 변화 없이 우리를 실망시키고 있다. 우리는 학교측에 학생의 요구를 정책에 더욱 반영하고 서 총장이 개혁의 실패를 인정하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카이스트 교수협의회도 새로운 리더십을 촉구하며, 서 총장이 변하거나 아니면 새 사람이 와야 한다고 암시했다.

교수협의회는 성명에서 "학생의 다양한 재능과 잠재력을 키우지 못하는 제도가 현 사태를 불러왔음을 부인할 수 없다. 우리는 효율성과 개혁의 이름 아래 이 제도가 추진되는 것을 막지 못한 책임을 통감한다. 우리는 개혁에 반대하지 않고, 개혁에는 고통이 따른다는 것을 알고 있다. 지속적인 개혁을 위해서는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고 자유롭게 토론하며 최대한의 공통점에 기반해 발전해야 한다는 원칙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과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9년간 한 해에 자살하는 대학생 수가 평균 230명이라 한다. 경쟁의 압박이 전부 원인은 아니겠지만, 전문가들은 한 카이스트 학생이 대자보에서 "우리는 이 학교에서 행복하지 않다"고 했던 것처럼, 경쟁아 학생들을 지치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서울대 우희종 교수는 대학이 긍정적인 경쟁을 가르쳐야지, 지금처럼 남을 짓밟거나 아니면 자멸하는 경쟁을 가르치면 안된다고 말했다.

우 교수가 상임의장으로 있는 민주화를 위한 전국 교수협의회와 전국교수노동조합, 학술단체협의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서 총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이들은 학생들이 생존이라는 게임에서 살아남는 법만 배우고 창의력은 잃고 있는데 서 총장은 학생들의 의지 박약만 탓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우 교수는 "교육기관은 사회 구성원을 기르고 뒤쳐지는 사람들을 격려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것을 가르치는 장이어야 한다. 경제적으로 아직 자립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낮은 성적을 이유로 징벌적 등록금을 무는 것은 폭력적인 경쟁이고 가족들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이런 경쟁에서 살아남은 사람들로 이루어진 사회가 어떤 모습일지 두렵다"고 말했다.

그는 교육은 공공의 영역이라며, "비즈니스 논리가 끼어들고 사람들이 그런 징벌적 제도가 당연하다고 여기게 된다면 그건 사회의 비극이다"라고 말했다.
Kim Rahn rahnita@koreatimes.co.kr


X
CLOSE

Top 10 Stories

go top LETTER